대강백무비스님강의·무불스님엮음금

[스크랩] ***행복은 오는것이 아니라. 행복 할줄 알아야 한다.********/무불스님

娘生寶藏 2011. 5. 26. 10:12

 

행복 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

왜.? 행복하지 못한가를 살펴봐야 할것이다.

 

지혜롭지 못하면. 돈 방석에 앉아서도 행복을 모른다.

마음을 닦아 지혜를 증득 하면, 돈이 없어도 행복할수 있다.

 

인생을 잘못 배우면, 돈과 권력 명예를 가지고도 인생을 불만속에 살게 되고 .

마음닦아 "보리"를 얻으면 시련과 고통이 바로 행복한 삶이란 것을 알수가 있어진다.

 

똑 같은 공부를 해도 .지혜롭게 배우면 깨달음 을 얻어 행복 할수 있고.

어리석게 배우면, 탐욕과 욕망이 노예가 되어.집착의 병을 얻어 불행하게 살게 된다.

 

무엇이 배움인가.?

"참구하고 참구할 일이다"

 

보고.듣고.실천 하는게 배우는 것이다.

실천과 실행이 없으면 배워도 배운 것이 아니다.

 

귀 한것도 잘못알고 배우면, 불행에 빠지고. 천 한것도 잘 배우면 행복해 진다.!

 

모두들 행복의 조건을, 권력.명예.애정.에서 찾는다.

재산 .권력 .명예.애정이 행복감을 주는건 사실이다.

그러나. 몸 .밖에서 얻은, 재산 .권력 .명예 애정은 건강을 잃어 버리면

 하루 아침에 사라저 버린다!

또 그것은 때가 되면(시절인연 ) 다 사라지고 없어지고 떠나가 버린다.

 

부처님의 6 년고행, 45 년 설법은 .생노병사 에서, 영원불멸 불생불멸을 찾는 가르침의 공부다.

천하의 도인과, 조사 께서는 생사의 행복을, 안락과 묘심(행복)을 " 고행" 속에서 찾으셨다.!

 

가난하면 부자 되기가 소원이다.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되니, 부자된 뒤에는 또 괴로움이 따른다. 

행복하고 싶으면, 지혜를 배워야 하고,  지혜를 얻기 위해서는 자기 수련(마음닦지)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행복은 자기 아는 만큼만 행복해 질수 있는 것이다.

뱁새는 뱁새의 대로의 행복이 있고,황새는 황새 만큼이 행복이 있을 뿐이다.

 

행복의 조건은, 자기가 가지고온 전생의 성질머리 를 고치는 것이 기본이다.

자신의 성질 을 고쳐서 좋은 성품으로 바꾸어, 챙기는 공부를(수행 수련) 해야 한다는 것이다 .

 

말만 배워서는 행복할수 없지만, 말.을 잘.하므로 행복한 사람이 되어질수 있다. 

그것이 성향 (聲香) 말에 향기가 나는 사람이 되라는 뜻이다. 

 

불교는 배워서 실천하여 수행하라는 것이다.

"한번 뿐인 인생이다."

"부처님의 가르침"!

"무상정등각"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부단히 노력 하려는 마음이 "삼막삼보리심" 이다.!

 

현명한 사람은 늘 자기를 살필줄 아는 사람이다.

내가 보낸 달마 그림에 쓰인 화제( 화두)다 ,

"조사 서래의.(祖師西來意)" 우리는. 왜.태여 났을까.?

 

 

 
 

 
출처 : 무불스님
글쓴이 : 길상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