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수관

[스크랩] ⊙자비수관과 뇌 과학⊙ 지운스님 - 8. 자비수관과 뇌 과학 - 1) 두뇌

娘生寶藏 2011. 6. 29. 18:22
다음카페 : 『 가장행복한공부 』
    8. 자비수관과 뇌 과학 신체에 영향을 주는 영적인 힘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노력이 이 세상 종교들을 통합하려고 애쓰는 모든 철학자들의 힘보다 몇 배나 더 큰 힘을 가질 것입니다. - 달라이라마 - 1) 두뇌
      성인의 뇌는 약 1.4 ~ 1.5㎏ 정도의 주먹만 한 크기이며, 두부 같은 조직으로 1조 1천억 개 이상의 뉴런(neuron)이 들어 있습니다. 이 뉴런은 시냅스를 통해 다른 뉴런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입니다. 우리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드릴 때마다 이들 뉴런들 사이에 새로운 신경 회로가 연결 됩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은 뇌신경 패턴을 새롭게 바꿉니다. 시냅스에서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 분비물로 신호를 받게 됩니다. 신호에 따라 뉴런은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결국 뉴런이 작동하게 되면 다른 뉴런에 시냅스를 통해 신호를 보내어 다른 뉴런의 작동 여부를 알려주게 됩니다. 뉴런은 신경계통의 가장 기본 구조이며 해마다 자랍니다. 두뇌에는 둥근 세포에서 축색과 수상돌기가 자라난 뉴런들로 가득합니다. 각 신경세포에는 하나의 축색과 10만개의 수상돌기를 갖습니다. 수상돌기는 뉴런이 다른 뉴런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주요 통로이고(배움), 축색은 정보를 다른 뉴런에게 전달하는 주요통로입니다(가르침). 하나의 뉴런과 수천 개의 이웃 뉴런들은 축색과 수상돌기의 뿌리와 줄기로 여러 방향으로 뻗어 있습니다. 그들은 계속 연결을 바꾸며 이리저리 얽혀 있습니다. 뉴런들이 수천 분의 일 초 정도로 함께 흥분하게 되면 이미 있는 시냅스(synapse)들이 아주 미세한 연결부위를 통해 뉴런 상호간에 정보를 소통시키는 일을 하는 신경발생(neurogenesis)이 됩니다. 즉, 이 ‘신경발생(neurogenesis)’은 새로운 학습에 대한 기억망의 개방을 증가시켜 줍니다. 활동을 하지 않는 시냅스는 ‘신경 가지치기(neuronal pruning)’를 통하여 사라져 버리고 부지런히 활동한 것만 살아남습니다. 한번 사라진 시냅스는 재생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유아들은 어른들에 비해 세 배 이상의 많은 시냅스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두뇌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자극에 의하여 뉴런의 정보를 얻는 수상돌기, 받는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인 축색, 이쪽 뉴런에서 저쪽 뉴런으로 정보를 전달 소통시키는 접합부의 시냅스, 이러한 구조와 뉴런과 뉴런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불교서적
출처 : 가장 행복한 공부
글쓴이 : 虛 堂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