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마경

[스크랩] 유마경 강설 99 /2, 방편품 19 /6, 무상의 비유 6

娘生寶藏 2011. 10. 29. 06:52

유마경 강설 99 /2, 방편품 19 /6, 무상의 비유 6

 

是身 爲災 百一病惱

 

이 몸은 재앙이라 101가지 병고의 괴로움 뿐이다.

강설 ; 흔히 404()이라고 한다. 지수화풍이라는 네 가지 요소에 각각 101가지의 병고가 있으므로 합하면 404가지의 병고가 된다. 그래서 사람은 어려서부터 누구나 한두 가지의 병은 다 가지고 있으며 나이가 들어 늙게 되면 곳곳이 아프고 탈이 나 있으며 낡고 고장이 난 곳이 10여 곳 이상이다. 병고 때문에 출근하듯이 드나드는 곳이 또한 병원뿐이며 쌓이는 것은 약봉지뿐이다. 사람들과의 대화도 오직 건강문제뿐이다. 이와 같이 병고를 앓고 사는 것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다 같다. 그러니 어찌 이 육신이 큰 우환이 아니겠는가.

 

 

是身 如丘井이라 爲老所逼이며

 

이 몸은 언덕위의 우물과 같아서 늙음으로부터 핍박을 받는다.

 

강설 ; 언덕위의 우물이라는 말은 예부터 우리들 인간의 생명이 무상하고 고통이며 위험하고 시간에 쫒기는 등등의 현실을 비유로 설명한 이야기다. 또한 안수정등(岸樹井藤)이라는 말로 많이 표현하기도 한다. 본래 대반열반경 1권에서 이 몸은 마치 험준한 강기슭에 위태롭게 서 있는 큰 나무[岸樹]와 같아서 무너지기 쉽다. 폭풍을 만나면 반드시 쓰러지기 때문이다.”라고 설한 말씀에서 나왔다. 이 비유를 중국에서는 흔히 하유(河喩)라고 말한다.

정등(井藤)이라는 우물속의 등나무에 관해서는 빈두로돌라사위우타연왕설법경(賓頭盧突羅闍爲優陀延王說法經)는 경의 말씀인데 빈두로돌라사 존자(尊者)는 우타연왕을 위하여 이렇게 설하였다.

대왕이여, 옛날 어떤 사람이 광야(廣野)를 헤매고 있었습니다. 그 때 크고 사나운 코끼리를 만나 쫓기게 되었습니다. 미친 듯이 달렸으나 의지할 곳이 없었습니다. 때마침 언덕 위에 있는 우물을 발견한 그는 곧 우물 속으로 드리워진 나무뿌리를 잡고 우물 속으로 들어가 숨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매달려 있는 나무뿌리를 흰 쥐와 검은 쥐가 번갈아 가며 이빨로 갉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물의 네 벽에는 네 마리 독사가 있는데 그 사람을 물려고 합니다. 또 이 우물 밑에는 큰 독룡(毒龍)이 있습니다. 그 사람은 옆에 있는 네 마리 독사와 아래 있는 독룡이 무서워서 떨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매달려 있는 나무뿌리는 뽑힐 듯이 흔들리고 그 때 나무에 매달려 있는 벌집에서 꿀 세 방울이 그의 입속으로 떨어졌습니다. 그 때 나무가 움직여 벌집을 무너뜨렸습니다. 벌들이 날아와서 그 사람을 쏘았습니다. 그런데 또 들에 불이 일어나 그가 매달려 있는 나무를 태웠습니다. -중략-

대왕이여, 광야는 생사(生死)를 비유하며, 그 남자는 범부(凡夫)를 비유하며, 코끼리는 무상(無常)을 비유하며, 언덕위의 우물은 사람의 몸을, 나무뿌리는 사람의 목숨을 비유합니다. 흰 쥐와 검은 쥐는 밤과 낮을 비유하고, 그 쥐들이 나무뿌리를 갉는 것은 사람의 목숨이 순간순간 줄어드는 것을 비유합니다. 네 마리 독사는 사대(四大), 꿀은 오욕(五欲)을 비유하며, 그를 쏜 뭇 벌들은 나쁜 생각과 견해(見解)들을 비유한 것입니다. 또 들불[野火]이 타는 것은 늙음을 비유하고, 아래에 있는 독룡은 죽음을 비유한 것입니다.”라고 되어 있다. 이러한 이야기는 불교에서 일반화 되어 있어서 유마경에서는 간단하게 기술하였다.

 

 

 

출처 : 염화실
글쓴이 : 無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