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발심수행

금강경으로 마음속의 때를 씻어라

娘生寶藏 2011. 12. 7. 16:38




**금강경

광륜사 대웅전 삼존불

으로 마음 속의 때를 씻어내라.**


             <>보성 스님<>

    오늘 제7회 송광사 금강산림대법회 입재일을 맞아
    날이 궂은데도 이렇게 많은 분들이 법회에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람이 늙는 것은 순식간입니다.

     

    저도 마찬가지입
    니다만, 늙으면 기력이 쇠하고 정신이 흐려서

     

    슨 일을 하려고 해도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젊고 건강했을 때 공부를 해야 합니다.

     

    한 눈을
    팔지 말고 앞만 보고 정진해야 합니다.

    젊고 건강할 때 한 시간이라도 더 참선도 하고
    한 번이라도 더 경을 읽고 염불도 열심히 해서
    공덕을 쌓아야 합니다.

     

    옆에서 누가 뭐래도 흔
    들리지 말고 직심있게 공부를 지어가십시오.

    부처님께서 이르셨듯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꿋꿋이 공부를

     

    지어가면 반드시 좋은 결실을 맺게 됩
    니다.

    금강경은 아주 수승한 경이라 고래로 많은 스님이
    주석을 달았습니다.

     

    그 가운데 다섯분의 중국 큰
    스님이 해석한 것이 유명한데

     

    이것이 [금강경
    오가해]입니다.

    한국 스님이 유일하게 금강경 해설을 했는데 이분이

     

    함허스님입니다.

     

    함허스님은 금강경오가해를
    설의해 큰 명성을 얻었습니다.

    조선조 초엽에 활동하신 함허스님은 이태조의
    왕사인 무학대사의 상수제자였는데 도력이 높고
    문장이 뛰어나 중국까지 이름을 떨치신 분입니다.

    이 함허스님은 송광사 광원암에 머물면서 금강경
    오가해 설의를 집필하셨다고 합니다.

     

    그러니 우리
    송광사 주지스님이 신도님들과 함께 금강경을

     

    공부
    하는 법자리를 마련한 것도 이 인연을 따른 자비심
    이라고 할 것입니다.

    신도님들은 이 귀한 인연을 잘 헤아려서 금강경의
    도리를 잘 배우시기 바랍니다.

    제가 미래사에서 효봉스님을 모시고 있을 때

     

    도견
    스님이란 분이 효봉스님 밑에서 공부를 하고 계셨습니다.

     

    그분은

     

    도량석을 할 때 함허스님의 금강경
    서문을 꼭 독송하셨습니다.

     

    그것이 지금도 내 귀에
    쟁쟁합니다.

    함허스님의 금강경 서문을 한 대목 들려드릴테니
    그 의미를 잘 새겨 보십시오.

    여기에 한 물건이 있으니
    이름과 모양이 끊어졌으되
    고금(古今)을 꿰뚫고 있고,
    한 티끌에 머물되 두루하지 않는 것이 없도다.

    안으로는 온갖 미묘한 것을 머금었고
    밖으로는 온갖 근기에 다 응하며
    삼재(三才)의 주인이 되고
    만법(萬法)의 왕이 되나니,
    탕탕(蕩蕩)하여 그에 비길 것 없고
    외외(巍巍)하여 그에 짝할 수 없도다.
    어찌 신비하지 아니한가.
    엎드리고 우러르는 사이에
    분명하게 보고 듣는 즈음에
    은은하게 스며 있으며,
    어찌 현현(玄玄)하지 아니한가.
    천지보다 먼저 됐으되 그 시작이 없고
    천지보다 뒤에까지 있으되 그끝이 없으니,
    공(空)이냐 유(有)냐 나는 그 까닭을 알지
    못하겠노라.

    여러 불자님들은 금강경을 간절히 독송하여 마음속의
    때를 씻고 지혜를 증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금강산림법회 입재법문<>
    월간[송광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