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부터 열반까지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부터 열반까지
1) 탄생 - 탄생(誕生): 약 2,500여년전 인도 북쪽 지금의 네팔 남쪽의 카필라국 정반왕(숫도다나왕)과 마야부인사이에서 탄생. 하늘 위 하늘 아래 나 홀로 존귀하니 삼계 중생의 모든 괴로움을 마땅히 내가 이를 편안케 하리라) - 마하파자파티: 7일만에 마야부인이 세상을 떠나시고 이모인 '마하파자파티'에 의해 양육되었다. - 고타마 싯달타(부치님의 출가전 이름): '모든 목적을 달성한 사람'이라는 뜻. - 아시타 선인(예언가): "이 왕자(부처님)는 세상에 있으면 전륜성왕이 될 것이고, 도를 닦으면 위 대한 깨달음을 성취한 성자가 될 것이다"리고 예언함.
2) 성장 - 염부수(閻浮樹)아래의 정관(靜觀): 춘경제 때 부왕을 따라 참석, 약육강식의 장면을 보고 충격 을 받아 큰 나무아래에서 깊은 사색에 잠긴 것을 말함. - 사문유관(四門遊觀): 태자가 성장하면서 어느 날 네 성문으로 나가 여러 가지를 목격한다. - 결혼: 17세에 야쇼다라공주와 결혼, 29세에 아들 라훌라<장애(障碍)라는 의미>가 태어났다.
3) 출가와 고행 - 유성출가(踰城出家): 29세 마부 차타카를 데리고 애마 칸타카를 타고 성을 넘어 출가함. 를 만나 그들의 이상적인 경지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에 부처님도 이름.
4) 깨달음 이후 붓다가야 핍팔라(보리수)나무 아래서 지나는 목동이 준 길상초(吉祥草)에 결가부좌를 하고 깊은 명상에 잠김. - 수하항마(樹下降魔): '마왕 파순'(마음속 번뇌를 상징)의 온갖 회유도 다 물리쳐 항복받음. 깨달음'을 이룸.
5) 법륜 - 범천(梵天)의 권청(勸請):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한 후, '어떻게 중생이 이 심오한 경지를 이해할까'하며 망설일 당시 범천이 부처님께 진리의 수레바퀴를 굴릴 것을 권청하여 중생교화에 나섬. 게 처음으로 사성제, 중도 등 법문을 한 곳. (Assaji:阿說示), 마하나마(Mahanama:摩訶男), 밧디야(Bhaddhiya: 婆提), 바파(Vappa:婆頗)에게 부처님께서 최초로 설법한 것을 말함. 떠나라,"고 함. 포교의 중요성 역설함. - 가섭 삼형제: 우루벨라로 가는 중에 마가다국에서 신봉하는 가섭 삼형제를 교화.
- 죽림정사(竹林精舍): 마가다국 빔비사라왕이 희사한 불교 최초의 가람(절, 사찰).
귀의. 후에 이들은 부처님의 상수제자가 되나 부처님보다 먼저 열반함.
- 주리반특: 방금 들은 것을 금방 잊어버리는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주리반특'은 승단에서 쫓게나게 되자 부처님은 '먼지를 털자'만 반복해 외라고 하자, 마음속의 번뇌를 털 어내고 뛰어난 지혜를 얻게 되었다. 진리를 깨우칠 때는 주리반특처럼 머리의 좋고 나쁨이 중요치 않고 온 몸과 마음 으로 절실하게 체험해야 성자의 길에 들어서는 것임. - 마하파자파티(=마하프라자파티): 8계법을 받고 '최초의 비구니'가 됨.
6) 열반 - 춘다: 베살리성 대장장이 '춘다'의 독버섯이든 공양을 받고 '80세'에 열반에 듦
* 자등명 자귀의 법등명 법귀의(自燈明 自歸依 法燈明 法歸依)...(중략)...제행무상 불방일정진 (諸行無常 不放逸精進): "너희들은 저마다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고, 자기 자신을 의지하여라. 진리를 등불로 삼고, 진리에 의지하여라. 이 밖에 다른 것에 의지해서는 안된다. 내가 간 후에 내가 말한 가르침이 곧 너희들의 스승이 될 것이다. 모든 것은 덧없으니,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 히 정진하라'
- 부처님을 일생동안 슬프게 한 세가지: 1. 코살라국에 의한 석가족의 멸망. 2. 사리불과 목건련 이 부처님보다 먼저 열반. 3. 사촌동생인 제바닷다의 반역
* 불교의 4대 성지(聖地): 부처님의 '탄생, 성도, 초전법륜, 열반' 장소를 4대성지라 함.
* 불교의 4대 재일(齋日): 부처님의 탄생일, 출가일, 성도일, 열반일을 4대재일이라 함.
고아일심 귀명정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