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수관

[스크랩] ⊙자비수관과 뇌 과학⊙ 지운스님 - 6. 공정심과 보리심 - 3) 자비심으로 보리심 일으키기

娘生寶藏 2011. 6. 18. 19:55
다음카페 : 『 가장행복한공부 』
    6. 공정심과 보리심
      3) 자비심으로 보리심 일으키기 ① 너와 나는 평등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행복을 추구하고 괴로움을 피하려고 애쓰는 것은 근본적인 면에서는 누구나 같습니다. 그래서 상대방이 나를 차별하더라도 모든 사람의 마음은 평등하다는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평등은 공성이므로 이 자리는 자타가 없습니다. 이 공성의 평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면 모든 번뇌는 사라집니다. 또한 증오와 집착이 얼마나 무익한가를 평등심으로 평정상태와 비교하여 사유합니다. 이때 마음이 편안한가를 살피고 평등일미의 공성에 초점을 맞추어 마음속의 괴로움을 없애고 상대에 대한 자비심을 키웁니다. ② 평등하다는 생각을 할 때 이미 상대편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준비가 됩니다. 이때 상대편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나’라는 생각을 하면 ‘나’라는 생각에 가려서 상대편의 상황이 어떤 상태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그 생각을 반성하면서 상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을 사유합니다. 그러면 상대가 나를 비난하더라도 왜 비난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생기면서 연민심이 일어납니다. 이와 같이 이해가 생길 때 ‘마음이 편안한가’를 살핍니다. 이렇게 이해가 되면 차별심을 없앨 수 있고 평등심을 회복시키면서 상대에 대한 자비심을 일으키게 됩니다. ③ 만일에 이해가 일어나지 않고 연민심이 생기지 않는다면, 상대방을 전생에 나를 낳아주고 길러주신 어머니라고 생각합니다. 전생에 나를 낳아주고 길러주신 은혜를 생각하면 도리어 고맙고 감사한 생각이 일어날 것입니다. 그러면 도리어 그 사람에 대한 연민이 일어날 것입니다. 고맙고 감사한 마음이 되는 것은 상대에 대한 불편한 마음을 평등심으로 바꾸는 것이므로 자비심을 키우게 됩니다. 이상 자비를 일으키는 ①, ②, ③의 세 가지를 처음에는 하나하나 사유하고 그 다음에는 이 셋을 연속적으로 사유하여 자비심을 일으킵니다. ④ 가장 가까운 가족, 즉 부모 형제, 그리고 스승 ⑤ 가족 전체, 친구나 친족 다수 ⑥ 한 마을, 한 도시, 한 국가, 지구 전체, 우주의 모든 생명체가 상호 의존하는 자비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사유 통찰합니다. 이렇게 자비심을 키우는 것이 원인이 되어 보리심이 일어납니다. 이 보리심은 모든 중생의 행복을 위한 열망과 공성의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염원인 수행의 길로 나아가게 합니다. 끝내는 보리심이 목적하는 바를 이루게 합니다. 그러나 비록 보리심을 일으켰다 해도 수행의 길로 나아가는 방편이 없으면 목적하는바 공성의 깨달음을 이룰 수 없습니다. 그 수행의 방편이 자비수관입니다. 불교서적
출처 : 가장 행복한 공부
글쓴이 : 虛 堂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