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여가는곳..

[스크랩] 희랑대(가야산)

娘生寶藏 2011. 9. 9. 11:01

      희랑대는 해인사에서 백련암으로 올라가는 길목의  왼쪽 , '지족암'가는 길로 가다보면

      계곡 옆에 암자로 오르는 길이 있다.

      돌계단을 사용하지 않고, 위쪽에 승용차 도로도 있지만, 다람쥐가 마중을 나와 있는  좁은 산길(지족암 가는길)로

      가는 것이 더 나은것 같다.

      '희랑대'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 산내암자이다.

       돌과 암반이 받침돌로 쓰인 벼랑위에 ''희랑대"가 있다.

       신라말기 헌강왕(927)때 희랑조사께서 창건했다는 '희랑대'는 규모는 작지만 그 암자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희랑조사가 머물던 곳으로서 자연이 만들어낸 아름다움과 멋스러움이 금강산의 보덕굴에 비유하고 있다.

 

       '희랑조사'는 고운 최치원과 시문(詩文)을 교류했었고,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시대 초기 까지 활동한  '화엄종'의 대가이다.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서 후삼국을 통일하는데 정신적인 큰 도움을 주었으며,해인사를 중창하기도 했다.   

                                                         장맛철이라서인지제법 버섯들이 눈에 띄기 시작한다.

                                    야생버섯에 대해서는 아무런 지식이 없어서 독버섯인지,식용인지,약용인지

                            분별력은 없지만,자연의 힘으로 땅을 뚫고 올라오는 힘에 매력을 느낀다.

                                                               희랑대로 올라가는 암벽 위에 핀 '바위채송화'

                       

                        '바위채송화'는 돌나물과이며 여러해살이풀이다.

                        돈나물처럼 생겼지만, 바위 겉에 붙어서 자라며 풀잎이 채송와를 닮았다해서 이름을 붙인것 같다.

                         전국의 산지 숲속 그늘 바위 표면에서 자란다.

                     '희랑대'라고 쓰인 현판이 달린 법당은 정면4칸 측면1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1970년에 성허스님이 지은 것이며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번지 이다.

                  희랑대는 신라말기에서~고려초까지 활동했던 희랑조사의 원당이다.

                        희랑대 법당 앞에서 내려다본~산 밑(지족암가는길)에서 올라오는 길이 제법 가파르다.

                                                                                                 희랑대"독성각"

 

       독성각에 모셔진 나반존자(독성님)의 영험기도 도량으로서 일반 신도들에게는 꽤 알려진 곳이라고 한다.

                                         독성각 앞에서 바라본 희랑대 앞쪽 승용차로 올라오면 저쪽으로 들어오는데

                                  그쪽으로해서 희랑대에 온다면 암자로 가는 매력은 별로 느끼지 못할것 같다.

                                  지족암 가는 길에 작으마한 '이정표'가 있는데, 그곳으로 오르면 숨은 가쁘지만 보람은 있다. 

                                                                         희랑대 독성각에 계신 '나반존자(독성님)'

 

        1940년 희랑대를 중창할 무렵  절을 짓는 목수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났다.

        노인은 두칸은 너무 작으니 3칸으로 지어 달라고 했다.

        원래 계획은 암반 위에 2칸 6평정도 되는 '독성전'을 지을 예정이었는데, 이 꿈 때문에

        3칸으로 늘려 지었다고 하며, 꿈에 나타난 노인이 "나반존자(독성)"라는 이야기가 전해져온다.

                    희랑대에서 바라보이는 숲속의 '지족암'이 보일듯 말듯 한다.

                   '지족암'은 희랑대 바로 위쪽에 있는데, 일타 큰스님께서 생전에 머무르셨던 곳이라고 한다. 

출처 : 산사에서의 풍경소리
글쓴이 : nami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