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스님법문

먼 인연에 연연해 가까운 인연 홀대말라 /월호스님

娘生寶藏 2012. 4. 11. 12:09



훗날 방(榜)으로 유명해진 덕산선감 선사는
항상 [금강경]을 강의했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주금강(朱金剛)이라고 불렀다.
남방의 선원이 자못 성대하다는 소문을 듣고 이를 깨부수고자
금강경주석서를 짊어지고 남방에 이르러 길에서 보니
한 노파가 떡을 팔고 있었다.
떡을 사서 점심을 먹으려는데,

노파가 말했다.
“질문 하나가 있는데 만일 대답을 하면 점심을 시주로
대접하겠지만,

만일 답하지 못하면 딴 집으로 가시오.
[금강경]에 이르기를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

하였는데 '''
스님께서는 어느 마음에 점심(點心),

즉 점을 찍으려 하시오.”
이에 선사는 대답을 못했다.

당연히 떡도 못 얻어먹었을 것이다.
일개 떡 파는 노파의 질문에 대답을 못해서
점심을 쫄쫄 굶는 처량한 신세가 되고 말았다.
나름대로 경전의 내용을 꿰뚫고 있다고 자부하였건만,
한 구절 제대로 대답할 수 없게 되었으니….

 

만약 그대라면 어떻게 답변했을까?
어떻게?

궁리분별하면 굶는다.

 그냥

“잘 먹겠습니다.”
하고는 떡을 덥석 집어먹었으면 되지 않았을까?

어쨌든 노파에게 한 방 먹은 덕산이 용담선사의 처소에 있을 때,
밤늦게 입실하니,

 용담이 말하였다.

“그냥 돌아가라.”
선사가 인사드리고 발을 거두고 나오려니,
밖이 어둡기에 돌아서서 말했다.
“스님,

 밖이 어둡습니다.”
그러자 용담이 지촉에 불을 붙여 건네주었다.
선사가 막 받아 가지려는데 용담이 확 불어 끄니,
선사가 모르는 결에 소리를 질렀다.
“내가 지금부터는 천하 노화상의 혀끝을 의심하지 않겠습니다.”     

이튿날 선사가 금강경주석서를 가지고
법당 앞으로 가서 횃불 한 자루를 들고 말하였다.
온갖 현묘한 말재주를 다 부리더라도
터럭 하나를 허공에 날린 것 같고,
세상의 온갖 재간을 다 부리더라도
한 방울 물을 바다에 던진 것 같다.”

그리고는 그 책을 태웠다.

노파에게 한 방 먹은 덕산이,

 드디어 용담선사에게
두 방 째 먹으면서 정신을 차린 것일까?

 이러한 내용에 대하여
〈염송설화〉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아놓고 있다.

“스님 밖이 어둡습니다.”

라고
한 것은 이치로도 맞고 사변으로도 맞는다.
사변으로 맞는 것은 그만 두고 이치로 맞는다 함은,
과거 깨달음이 있었던 것은 다만 자기 자신만을 깨달았을 뿐
눈앞의 일을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니,

 옛사람이 이르기를
“열반의 마음을 깨닫기는 쉬우나 차별된 지혜는 밝히기 어렵다”
고 했다.

자기 자신만을 깨달았을 뿐,
눈앞의 일을 깨닫지 못했다는 것은 무엇일까.
삼세심불가득(三世心不可得)을 이치로만 이해할 뿐,
눈앞의 떡 조차 집어먹지 못한 현실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사람으로 치자면,
눈앞의 가까운 인연에게 충실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사실 가까운 인연 일수록 소홀하기가 쉽다.
‘맨 날 보는 사람이니까 대충 소홀해도 다 이해하겠지’

하는 생각도 들 수 있다.

하지만 가까운 만큼 더 소중히 대하는 것이
차별된 지혜가 아닐까.

이런 가정을 해봄직도 하다.

내게 가장 소중한 사람은 누구일까?
어디론가 영원히 먼 길을 떠난다 하자.

오직 한 사람만
동행할 수 있다면,

그 길을 누구와 함께 떠날 것인가?
이렇게 소중한 사람에게
나는 정말 소중한 만큼 잘 대해주고 있는가?

그만큼 나의 시간과 정성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바쁘다는 핑계로 차일피일 미루고 있는 점은 없는가?
먼 인연들에게 한 눈팔려 정작 가장 가까운 인연을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

,,,,?


- 월호 스님 / 쌍계사 승가대학 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