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보학 언수(劉寶學 彦修)에게 보낸 답장 1-4
往往에 士大夫가 多於不如意中에 得箇瞥地處라가 却於如意中에 打失了하나니 不可不使公知라 在如意中하야 須時時以不如意中時節로 在念하야 切不可暫忘也어다 但得本이언정 莫愁末하며 但知作佛이언정 莫愁佛不解語어다 遮一着子는 得易守難하니 切不可忽이어다
왕왕 사대부들이 흔히 뜻대로 되지 않는 가운데서는 공부가 잠깐 되는 것을 얻다가 도리어 뜻대로 되는 가운데서는 오히려 공부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그대에게 꼭 알려드립니다. 뜻대로 되는 가운데 있으면서 반드시 뜻대로 되지 않던 시절로서 생각에 두어 간절히 잠간도 잊어버리지 마십시오. 다만 근본을 얻을지언정 그 끝을 걱정하지 마십시오. 다만 부처가 되기를 알지언정 부처가 말을 할 줄 모를까를 걱정하지 마십시오. 이 한 물건은 얻기는 쉬우나 지키기는 어렵습니다. 절대로 소홀히 하지 마십시오.
강설 :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란 공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분위기가 시끄럽거나 일상에 일이 많거나 병고가 있거나 할 때이다. 대개 공부는 그와 같은 상황에서 더 잘되다가 조용하고 편안하며 아무런 일이 없으면 오히려 공부를 잘못하는 예가 많다. 옛말에 “기한(飢寒)에 발도심(發道心)이라.”하였다. 춥고 배가 고파야 도를 닦을 마음을 낸다는 뜻이다. 요즘도 등이 따뜻하고 배가 불러서 생활환경이 좋아지니 진정으로 공부하는 사람이 없다. 공부인은 항상 어려울 때 열심히 공부하던 생각을 되살려서 꾸준히 정진해야 하리라.
그리고 불교공부란 근본을 잘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부처되기를 생각할지언정 부처가 되어 설법을 할 줄 모를까를 염려해서는 아니 된다. 도연초(徒然草)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옛날 젊은 스님이 법사가 되려고 하였다. 법사가 되면 말을 타고 법문을 하려 다녀야 하기 때문에 말 타는 법을 먼저 배웠다. 말을 타다보니 정작 해야 할 법사의 공부는 하지 못하고 말았다. 또 편지에 “이 한 물건은 얻기는 쉬우나 지키기는 어렵습니다.”라는 말이 있다. 설사 깨닫고 난 뒤라 하더라도 보림(保任) 공부를 개을리 해서는 도리어 먼저 한 공부마저 잊어버리게 된다는 뜻이다. 세상일도 입성(入城)은 쉬우나 수성(守城)은 어렵다고 하였다.
'서장강설무비큰스님·대새선사의 행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유보학 언수(劉寶學 彦修)에게 보낸 답장 1-6 (0) | 2013.06.24 |
---|---|
[스크랩] 유보학 언수(劉寶學 彦修)에게 보낸 답장 1-5 (0) | 2013.06.22 |
[스크랩] 유보학 언수(劉寶學 彦修)에게 보낸 답장 1-3 (0) | 2013.06.18 |
[스크랩] 유보학 언수(劉寶學 彦修)에게 보낸 답장 1-2 (0) | 2013.06.16 |
[스크랩] 유보학 언수(劉寶學 彦修)에게 보낸 답장 1-1 (0) | 201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