寒山詩·마니주

[스크랩] 寒山詩233(한산시233)

娘生寶藏 2012. 10. 11. 12:07

我見凡愚人(아견범우인) : 내가 본 세속의 어리석은 이들

多畜資財谷(다축자재곡) : 분에 넘는 재물과 식량 쌓아두고서

飮酒食生命(음주식생명) : 술 마시고 고기까지 먹으면서도

謂言我富足(위언아부족) : 자기는 부자로 만족하면서 산다하네

莫知地獄深(막지지옥심) : 지옥이 있다는 것은 알지 못하고

唯求上天福(유구상천복) : 하늘이 복 주기만 빌어대고 있으니

罪業如毗富(죄업여비부) : 지은 죄가 이미 비부산과 같은데

豈得免災毒(기득면재독) : 몰려오는 재난을 어찌 피하려는가

財主忽然死(재주홀연사) : 재물 가진 주인이 죽어버리면

爭共當頭哭(쟁공당두곡) : 식구들 앞 다퉈 슬피 울면서

供僧讀文疏(공승독문소) : 중들 불러 공양하고 염불해보지만

空是鬼神祿(공시귀신록) : 부질없어라 죽은 이에게 복록이라니

福田一個無(복전일개무) : 그중에 복 될 것은 하나도 없고

虛設一群禿(허설일군독) : 공연히 까까머리 위하는 것뿐이니

不如早覺悟(불여조각오) : 그대들 어서어서 바로 깨달아

莫作黑暗獄(막작흑암옥) : 어두운 지옥 갈 일 말아야하네

狂風不動樹(광풍부동수) :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 불어도 끄떡 않고

心眞無罪福(심진무죄복) : 마음에는 정말로 죄와 복이 없나니

寄語兀兀人(기어올올인) : 흐리멍덩한 이들에게 해주는 내말

叮嚀再三讀(정녕재삼독) : 당부컨대 두 번 세 번 읽어 보시게나

 

▶谷(곡) : 곡식(= 穀食)

▶毗富(비부) : 왕사성에 있던 산. 불경에서 광대무변 한 것을 형용 할 때 자주 사용.

▶文疏(문소) : 하늘에 복을 비는 글

▶兀兀(올올) : 흐리멍덩하다. 움직이지 않다.

▶叮嚀(정녕) : 신신당부하다.

출처 : 염화실
글쓴이 : 마니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