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수관

[스크랩] ⊙자비수관과 뇌 과학⊙ 지운스님 - 7. 자비손(慈悲手) - 4) 자비손(慈悲手)의 역할 - (1) 자비손의 소통

娘生寶藏 2011. 6. 25. 14:27
다음카페 : 『 가장행복한공부 』
    7. 자비손(慈悲手) 4) 자비손(慈悲手)의 역할
      (1) 자비손의 소통 북과 소리는 어떤 관계일까요? 북과 소리는 전혀 다른 관계입니다. 하지만 북을 두드리면 북소리가 납니다. 자비손으로 북이라는 몸을 쓰다듬으면 몸을 통하여 소리라는 기맥과 심리가 열리고 일어납니다. 이와 같이 자비손의 역할은 북을 두드려 소리가 일어나도록 하는 북과 소리를 연결시키듯이 인연의 고리입니다. 나와 이 세상 모든 것과의 관계성 사유는 물론 상호 연결하고 소통하는 연기실상을 회복하게 하는 것입니다. 뇌 속의 모든 신경회로의 소통이 원활하게 하고 네트워크가 균형을 유지 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와 자연, 그리고 우주와의 끊어짐, 즉 나와 남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은 몸과 마음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연결이 끊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몸과 마음에 질병을 유발합니다. 자비손과 몸이 서로 소통하는 것은 이 세상 모든 것과 연결시키는 첫걸음이며 세상의 모든 단절을 종식시키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연결시킴으로써 몸과 마음의 치유가 일어나며 궁극의 깨달음에까지 이르게 됩니다. 첫째, 자비손으로 온 몸을 쓰다듬을 때, 몸속의 7만 2천개의 기맥이 열리어 소통이 원활해지고, 소통 되는 기맥에 2만 1천 6백개의 기운이 발아됩니다. 그래서 몸의 움직임[身]·생각의 움직임[意]·입의 언어활동[口]이 일어나기 때문에 자비손으로 접촉(쓰다듬는 것)을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특히 자비손은 마음입니다. 즉 몸을 깨우는 것입니다. 몸은 근(根)이라고 하며 마음이 일어나게 하는 뿌리입니다. 그래서 몸의 세포가 깨어나면 자연히 마음도 몸을 통하여 깨어납니다.1) 뿐만 아니라 몸은 마음의 정보를 표현하는 스크린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세포의 DNA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둘째, 몸의 접촉[觸], 즉 흙·물·불·바람·허공에 접촉함으로 인한 마음의 동요[作意], 마음의 동요로 인하여 대상을 받아들이는 감수작용[受], 그 감수되는 정보를 이미지화하는 표상작용[想], 선·악·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무기(無記)로 채색하는 의지작용[思]의 심리 등등이 모두 자비손의 접촉에서 비롯됩니다. 즉, 접촉 다음에 일어나는 마음의 동요인 작의에 의하여 몸과 마음의 정보가 수(受)·상(想)·사(思)를 통하여 나타나는 것입니다. 셋째, 몸과 마음의 부정적인 여러 현상들을 사랑과 연민심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자비심을 생기게 하고 생긴 자비심이 증폭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넷째, 몸[身]·입[口]생각[意]으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온몸에 블록이 생깁니다. 블록이 어느 부위에 생겼는지 알기 위해서이며, 그 생긴 블록을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섯째, 블록이 생긴 부위들은 모두 심리현상인 것임을 알고 이러한 심리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블록과 관련되는 심리현상들을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여섯째, 심리현상들은 몸과 무의식(‘아뢰야’라는 마음)의 창고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정보들의 발현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몸의 정보와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여러 가지 정보가 몸을 통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일곱째, 몸을 구성하고 심리를 일으키는 지수화풍의 4대를 새롭게 생성시킵니다. 그러므로 기존의 부정적인 4대로 구성되어 있던 몸을 긍정적인 몸으로 새롭게 바꾸는 것입니다. 몸이 긍정적으로 새롭게 바뀌었기 때문에 기존의 습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습관성 심리를 제거하거나 또는 긍정적으로 전환 시킵니다. 여덟째, 자비손의 자(慈 - 사랑)는 탐욕과 성냄을 빼내어 버리는 힘으로 작용하여 마음을 고요하게 합니다. 비(悲 - 연민)는 고통의 원인을 끝까지 추격하며 무상·고·무의 삼법인을 관하게 합니다. 그래서 괴로움의 원인인 걱정·슬픔·분노와 증오 등을 없애줍니다. 아홉째, 집중력이 극대화 됩니다. 상상력으로 손을 만드는 것은 집중력을 고도로 높여줍니다. 또한 정념의 힘도 극대화합니다.2) 손을 활용하는 이유는 수행을 처음 접하는 사람의 마음을 집중하도록 이끄는 방편입니다. 예를 들면, 어릴 때 찰흙으로 어떤 형상을 만들면서 아무 생각 없이 열중하듯이, 의식으로 손의 형상을 만드는 것 자체가 집중되는 것이고 이 집중이 힘은 마음을 고요하게[禪定] 합니다. 대상의 본질을 꿰뚫어 보게 하는 관(觀)을 도와주는 방편이기도 합니다. 또 집중이 몸과 마음이 무자성공이라는 것을 알게 합니다. 즉 자비심의 근원이 드러나게 합니다. 그리고 손은 찰흙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처럼 자비손은 모든 기맥이 연결되어 있어서 자비로 창조할 수 있습니다. 열째, 자비손과 생명 에너지[5대]와 접촉하는 것은 자비심을 일으키기 위한 것입니다. 자비손이 그 매개 역할을 합니다. 상응관계는 인과 연의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因)과 연(緣)의 상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과를 초래할 수 없으므로 더 이상 수행의 진척이 없고 열반(涅槃)으로 나아갈 수도 없습니다. 열한째, 자비손과의 접촉으로 일어난 자비심이 5대와 상응하면 몸과 마음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반응하게 됩니다. 그리고 5대의 질적 변화를 일으킵니다. 손은 움직여서 어떤 것이든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형상화 한 손 또한 자비로운 의식을 움직이며 자비를 몸의 5대에 전달합니다. 자비심은 5대로 하여금 지혜를 낳도록 질적 변화를 일으킵니다.3) 열둘째, 5대의 질적 변화는 과거의 모든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 등을 긍정적으로 바꾸므로 몸과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열셋째, 자비손의 특성은 마치 거울로 사물을 비추어 보이듯이 몸과 마음의 현상을 객관적으로 보개 합니다. 이 거울작용과 같은 특징은 대상에 집착하여 그 대상과 동일시함을 멈추게 합니다. 그리고 자동으로 일어나는 갖가지 생각들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열넷째, 자비손 접촉에 의하여 거울과 같이 투명하고 비추는 마음이 생겨서,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의 사랑 애(愛)를 무소유의 사랑 자(慈)로 전환 시킵니다. 열다섯째, 자비손의 접촉은 의식을 빛과 같이 환하고 명료하게 합니다. 자비손과 몸의 접촉은 곧 연기(緣起)이고, 연기는 곧 앎을 일으키며 앎 그 자체입니다. 그래서 연기의 앎은 곧 의식의 앎인 각성(覺性)입니다. 그리고 몸과 마음의 모든 정보들은 무상·고·무아의 삼법인으로 나타납니다. 이 삼법인을 통찰하면 의식이 명료해지며 지혜로 깨어납니다. 다시 말하면 자비손의 사랑이 몸과 마음의 여러 가지 현상들을 나타나게 합니다. 나타나는 현상들을 삼법인으로 살펴보면 다르마(법)를 체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연민심으로 삶과 죽음 그리고 괴로움의 원인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열여섯째, 주시하는 거울 같은 의식과 빛과 같이 깨어나는 의식은 같은 마음입니다. 이것은 숨 쉬지 않고 땀 흘리지 않는 청정한 마음이 나타나게 합니다. 열일곱째, 자비손을 쓰는 마음의 작용은 아뢰야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자비종자를 일깨워 자비심을 증대 시켜 마음 자체를 자비심으로 바꾸게 합니다. 바로 이 자비심이 위로는 깨달음을 이루게 하고, 아래로는 일체중생을 구제하는 일에 나서게 하는 보리심으로 작용하게 합니다.4) 이 자비손에는 자비의 감정이 실려 있어야 합니다. 자비감정이 아닌 경우는 그 감정이 대상과 소통할 수 없어 자비가 생기지 않고 단절 됩니다. 대상과 상호 소통하는 감정은 부드러움, 스며드는 수용, 따뜻함, 빛, 향기로 움직여 가면서 장애를 없애줌, 투명함, 걸림 없음 등으로 대상에 영향을 줍니다, 영향을 받아 반응을 일으키는 자비심은 자비의 감정입니다. 자비심은 몸과 마음에 영향을 주어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냅니다.5) 다시 말하면 자비손의 사랑이 몸과 마음의 여러 현상들을 나타나게 하고, 나타나는 현상들을 삼법인(무상·고·무아)으로 살펴보고, 다르마(법)를 체득합니다. 그리고 연민심으로 삶과 죽음 그리고 괴로움의 원인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註釋┠─────────────────────────────────────────
      1) 후성유전학에서는 DNA의 유전 정보가 생명현상으로 나타나게 하는 데는 음식물, 환경, 생활습관과 마음이 영향을 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아비달마에서는 몸의 구성 요소인 흙·물·불·바람을 생성시키는 데는 음식물, 온도, 업, 마음의 네 가지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후성유전학과 거의 동일하게 설하고 있습니다. 본문으로... 2) 일반적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어떤 형상을 만들 때에 집중력이 없으면 그림이나 어떤 형상을 완성시킬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비손의 고도의 집중력은 체험기간을 아주 짧게 단축시킵니다. 본문으로... 3) 왜냐하면 자비심의 속성이 무아이기 때문입니다. 이때의 5대는 번뇌에 오염되어 있는 마음을 정화하고 번뇌를 타파하는 지혜를 일으키게 됩니다. 물론 자비심이 직접 5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손을 형상화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무형상의 의식은 움직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의식을 움직이려면 의식을 형상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손은 움직여서 어떤 것이든 전달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듯이 형상화한 손은 의식을 움직이며 자비를 전달합니다. 그래서 손은 자비심과 궁합이 맞는다 하겠습니다. ‘자(慈)’는 기쁨을 주는 것이라면, ‘비(悲)’는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며, 손 또한 그 기능이 (물건을) 주고 받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자비손은 닮은꼴입니다. 정신적·물질적인 이익을 주면 기쁨이 생기므로 사랑이요, 나쁜 것을 제거해 주면 고통이 사라지니 연민심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자비심입니다. 그런데 5대의 활성화가 의식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해도 오히려 번뇌 망상의 힘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 5대가 번뇌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비심은 5대가 지혜를 낳도록 질적 변화를 일으키게 합니다. 이것이 자비심을 몸에 전달해야하는 이유이며 자비손의 필요성이 여기에 있습니다. 본문으로... 4) 이처럼 자비손은 몸을 빠르게 반응하게 하여 법이 나타나도록 정념을 돕고 마음 전체를 자비심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본문으로... 5) 이러한 현상에 의해 밝혀진 바로는 암, 갑상선, 신부전증, 허리통증, 퇴행성 관절염, 온몸의 기운이 없는 등의 병이 치유되었으며 마음은 밝고 가벼워지고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증후군, 인터넷 중독, 밀폐공포증 등의 심리가 치료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본문으로...
    ─────────────────────────────────────────────╂ 불교서적
출처 : 가장 행복한 공부
글쓴이 : 虛 堂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