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수관

[스크랩] ⊙자비수관과 뇌 과학⊙ 지운스님 - 7. 자비손(慈悲手) - 4) 자비손(慈悲手)의 역할 - (2) 자비손의 성격에 따라 몸도 그 성격과 같게 반응한다

娘生寶藏 2011. 6. 28. 11:34
다음카페 : 『 가장행복한공부 』
    7. 자비손(慈悲手) 4) 자비손(慈悲手)의 역할
      (2) 자비손의 성격에 따라 몸도 그 성격과 같게 반응한다 이제, 자비수관의 명상이 시작됩니다. 먼저 몸과 마음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고, 다음은 직접 자비손을 만드는 수행을 합니다. 부드러운 자비손이면 몸도 부드러워집니다. 이는 유식무경(唯識無境) 만법유식(萬法唯識)의 이치입니다. 자비손 따라 몸의 현상과 마음이 바뀌는 것은 자비손과 관찰 대상이 상호 관련하여 연기(緣起)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연기가 마음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음 밖에 따로 무엇이 없습니다. 이것을 유식무경이라 합니다. 그리고 현상이 마음이므로 만법유식이라고 합니다. 말하자면, 자비손이라는 마음의 영향에 의해서 대상도 마음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불교서적
출처 : 가장 행복한 공부
글쓴이 : 虛 堂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