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마경

[스크랩] 유마경 강설 394 /9, 입불이법문품 /18, 명상 보살

娘生寶藏 2013. 8. 26. 06:35

유마경 강설 394 /9, 입불이법문품 /18, 명상 보살

 

18, 明相菩薩 曰四種異 空種異 爲二어늘 四種性 卽是空種性이라 如前際하야 後際空故 中際亦空하나니 若能如是知諸種性者 是爲入不二法門이니다

 

명상보살이 말하였다. “, , , 풍 네 가지의 다름과 공의 다름이 둘이 되지만, 네 가지의 본성은 곧 공의 본성입니다. 앞과 같이 뒤도 공함으로 중간도 또한 공합니다. 만약 능히 이와 같이 모든 종류의 본성을 아는 사람이 이것이 둘이 아닌 법문에 들어가는 것이 됩니다.”

 

강설 ; , , , 풍은 공이 아니면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지, , , 풍이 곧 공이며 공이 곧 지, , , 풍이다. 그렇다면 결국은 앞도 공이며 뒤도 공이며 중간도 공이다. 이렇게 아는 것 이것이 둘이 아닌 법문에 들어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출처 : 염화실
글쓴이 : 無比 원글보기
메모 :